카카오톡 모바일 신분증 발급 과정과 무인매장에서 인증하는 방법

일부 시간대 청소년 입장이 제한되는 PC방이나 음식점 같은 곳에서 내가 성인임을 밝히려면 별도의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무인 편의점도 그렇고 별도의 인증 수단을 해야 정상적인 이용이 가능한 경우도 많아졌다. 그런데 이것이 생체칩도 아니고 자신도 모르게 가져오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인증해야 하는 상황이 빌센힌디라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편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말 그대로 스마트폰 안에 저장된 인증 수단에 해당해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밖에 들고 다니는 기기의 특성상 가장 편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는 주민등록증이 아니라 모바일 운전면허증이기 때문에 운전면허가 없는 분들이라면 이 방법이 제대로 먹히지 않는다.

이 시간에 다루는 내용은 위 모바일 운전면허증도 아니고, 카카오톡 모바일 신분증 발급 확인과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설명문이다. 한국에 거주하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카카오톡을 사용할 일이 많기 때문에 해당 앱이 설치돼 있다면 이 방식이 가장 편하고 익숙할 수 있다. 참고로 이 방법은 무인매장에서 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카카오톡 신분증 발급 확인 여부는 매우 간단하다. 먼저 본인의 스마트폰 환경에 설치돼 있는 카카오톡 앱을 실행한 뒤 오른쪽 하단에 있는 더보기 버튼을 클릭해 더보기에 있는 왼쪽 상단에 위치한 지갑 버튼을 누르도록 한다. 지갑이라고 크게 강조된 버튼을 찾아 누르기만 하면 된다.

그 다음 지갑 항목에 가면 금융서비스나 전자문서 등 다양한 항목이 나오는데 여기서 신분/증명 탭을 클릭하고 아래로 가서 출입 OR이라고 적혀 있는 버튼을 클릭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QR코드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출입 인증이나 다양한 인증 수단이 QR 형태로 나온다. 이곳에서 출입인증 QR은 무인매장 출입에 필요하며 30초간 출력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무인매장에서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방법이 그리 어렵지도 않다.

만 19세 이상 성인 모바일 신분증 역할을 하는 이를 들고 다니면서 해당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는 성인 인증 QR 기능도 있다. 다만 출입인증 QR로 옆으로 밀기만 하면 바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본인인증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이렇게 QR화면이 뜬다.(참고로 생체인증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30초간 유효하게 된다. 무인매장에 있는 주류진열대나 냉장고에 있는 스캐너에 대기만 하면 그만.

그런데 이 카카오톡 신분증이 어떤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이는 사용처를 클릭하면 유형별 매장이 표시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아시다시피 대부분의 무인매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애초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이 인증 방식은 사용자의 얼굴이 담긴 사진이 나오지 않았고, 이 때문에 신분 확인이 까다로운 술집이나 공항 같은 장소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그래서 간단한 무인매장이나 방문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카카오톡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및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그런 개념은 아니기 때문에 어떤 장소든 상관없이 완벽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행안부에서 제공하는 운전면허증 및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 앱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 외에는 없다고 보면 된다.